1. 절기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개 절기로 나눈 것을 절기라고 합니다.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기후, 계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고 감사하는 세시풍속과 그에 따라 명절과 절기에 맞게 먹는 세시음식이 발달했습니다. 2. 절기 음식 계절에 맞게 제철 식재료로 만들어 먹는 음식으로 건강도 챙기고 나쁜 기운을 쫓는 등 여러가지 의미가 담겨있고 우리나라 전통적인 생활풍습이 깃들어 있습니다. 3. 여름 절기 음식 1)입하 :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쑥버무리와 입하차(입하까지 딴 찻잎)로 입맛을 돋구었습니다. 2)소만 : 여름의 문턱으로 죽순을 따서 고추장에 살짝 버무려 먹거나 마지막으로 냉이를 먹을수 있습니다. 3)망종 : 보리베기와 벼와 ..